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입출금 통장 (파킹통장) 비교

by 부자 엑셀 2024. 2. 10.

 

입출금 통장 (파킹 통장)
입출금 통장 (파킹 통장)

 

재테크에 신경 쓰시는 분들은 월급 통장과 생활비 통장을 구분해서 갖고 계십니다. 또 어떤 분들은 월급 통장으로 생활비까지 쓰고 대신 파킹통장을 별도로 갖고 계신 분들도 계십니다. 물론 세 가지 통장을 모두 따로 갖고 계신 분들도 계십니다. 이들 통장은 용도가 제각각 다르지만 공통점은 정기예금도 적금도 아닌 입출금 통장이라는 것입니다.

 

혹시 나의 입출금 통장 연이율은 0.1% ?

 

상당히 많은 입출금 통장이 사실상 금리가 없다고 느껴지는 통장입니다. 재테크에 신경 안 쓰면 이것이 당연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잘 알아보면 은행들의 입출금 통장도 정기예금하고 비교될 만큼 이자를 많이 주는 상품들도 있습니다.

 

급여통장은 예적금 금리우대나 대출 등 다른 혜택 때문에 급여통장 자체 금리는 포기하고 가입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비 통장이나 파킹 통장은 여러 은행 상품을 비교해 보면 좋은 상품이 많습니다. 따라서 저도 가입할 겸 2024년 2월 현재 은행별 금리가 높은 입출금 통장을 비교해 봤습니다.

 

조사 대상에는 청년, 군인, 공무원 등 특정 대상만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은 제외 했습니다. 저도 가입할 수 없기도 하니까요. 그리고 이체 수수료가 있거나 월급 이체가 조건인 경우도 제외하는 등 별다른 조건 없는 생활비나 파킹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한 통장만 대상으로 했습니다.

 

명시한 모든 금리는 연이율에 세전 기준이고 특별히 표기하지 않으면 1인 1통장 제한 및 1인 5천만 원까지 보호금융상품이며, 모든 상품을 제가 직접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였으나, 가입하실 분은 본인이 다시 한번 해당은행에 최종 확인 후 가입하시기 바랍니다.

 

 

 

주요 입출금통장 비교

 

OK짠테크통장 (OK저축은행) : 최고 7%

 

바로 몇일 전 2월 5일 출시한 상품인데요. 최고 금리가 7%나 되는 엄청난 금리의 입출금 통장이 되겠습니다. 다만 7%는 예치금 50만 원까지이고, 50만 원 초과분~1억 원까지는 3.3%, 1억 원 초과분은 1% 밖에 안 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 OK저축은행의 보통예금을 보유한 고객은 가입 제한

- 비과세 종합저축 가입 불가

저축은행이므로 예금보호가 되는 5천만원 이하로 가급적 적게 예치한다면 3.3%의 높은 금리이기 때문에 생활비 통장 또는 파킹 통장으로 괜찮은 상품으로 보입니다. 저는 1월에 우리은행 입출금통장을 개설했기 때문에 개설 제한이 풀리는 다음 주에 이 통장을 가입해서 7%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50만 원만 예치하려고 합니다. 50만 원 비상금 통장으로 쓰면 괜찮을 듯싶네요.

OK저축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
OK저축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

 

 

 

생활통장 (케이뱅크) : 최고 3%

 

제가 사용하고 있는 입출금 통장입니다. 연이율이 300만 원까지는 3%, 300만원 초과분은 0.1% 입니다. 따라서 300만원 이하의 생활비를 쓰는 통장으로 아주 적합합니다. 그리고 300만원 초과되는 금액은 이 통장에 예치하지 말고 플러스박스를 개설하여 그 통장에 넣으면 좋습니다.

- 생활금리는 1인 1계좌에 적용되며, 생활통장을 더 만들어도 생활금리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플러스박스 (케이뱅크) : 2.3%

 

위 생활통장과 같이 사용하면 좋습니다. 300만 원 초과분을 이 통장에 넣고 필요할 때 꺼내서 사용하면 됩니다. 최대 10억 원까지 예치할 수 있으며, 한 달 이상 예치할 수 있는 금액은 연이율 3% 이상되는 한 달짜리 예금을 가입하시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케이뱅크 홈페이지 바로가기
케이뱅크 홈페이지 바로가기

 

 

네이버페이 머니 하나 통장 (하나은행) : 최고 4%

 

4%의 금리는 이벤트 우대금리로 1년 간만 유효합니다. 1년 후에는 기본금리인 0.1%만 받기 때문에 금리보다는 네이버페이와 연결된 상품인 만큼 네이버 페이를 자주 이용하는 분들한테 포인트 적립이 주 혜택인 것 같습니다. 쇼핑을 잘하지 않는 저에게는 그다지 관심 가지는 않네요.

 

 

365파킹통장 (광주은행) : 최고 3.5%

 

이 상품은 가입일로부터 6개월 동안만 우대금리를 제공한다고 나와 있어서 관심 가지는 않네요.

 

 

세이프박스 (카카오뱅크) : 2.1%

 

카카오 뱅크는 입출금 통장 금리 0.1%이며 파킹 통장인 세이프박스가 2.1% 뿐이 안 하는 점은 아쉽습니다. 제가 볼 때에는 카카오뱅크는 입출금보다는 예적금이 좋은 것 같습니다.

 

 

토스뱅크 통장 : 2%

 

토스뱅크 역시 입출금 통장은 그리 좋지 않습니다.

 

 

이상으로 입출금 통장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1금융권 은행들은 입출금 통장의 금리가 0.1%에서 2% 미만이 대부분이고요. 위에 언급한 인터넷 뱅크들... 그중에서도 케이뱅크가 제일 괜찮은 것 같습니다. 물론 2금융권 저축은행들은 3% 수준의 입출금 상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가 엄청나게 차이 나지 않는다면 저는 좀 더 안정적인 1금융권을 좀 더 선호하게 되네요.

 

그럼 모든 분들 재산 증식에 도움 되시길 바라며 다음글에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