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주 쉬운 엑셀 강의

엑셀 UI 익히기 01. 화면 구성 및 명칭

by 부자 엑셀 2024. 1. 20.

기초 강의 전에 UI를 간단하게 설명드리려 했는데 메뉴를 정리하려면 얼마나 걸릴까 봤더니 헉 소리 나지만 천천히 하나하나 설명드리겠습니다. 단, 제가 엑셀의 A to Z를 강의하려는 게 아니니 많이 쓰이는 메뉴만 설명드리겠습니다.

 

엑셀 화면 구성 및 명칭

 

엑셀 화면 구성 및 명칭
엑셀 화면 구성 및 명칭

정리하다 보니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복잡하다고 느끼실 것 같네요. UI는 모두 외우려 하지 마시고 쓰시는 것만 하나하나 익히시면 됩니다. 그럼 위에서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빠른 실행 도구

자주 쓰이는 명령을 여기에 등록하고 언제든지 바로 마우스 클릭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입니다.

디폴트로 저장, 명령취소, 명령 재실행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자주 쓰는 다른 명령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맨 오른쪽 아래 화살표를 누르고 기타 명령을 선택합니다. 여기서 좌측의 명령들 중에 자주 쓰는 명령을 우측에 추가하면 됩니다.

 

파일명 (워크북명)

엑셀을 실행한 후 새로 만들기로 하면 파일명이 "통합 문서1", 또 추가하면 "통합 문서2", ... 이런 식으로 됩니다만 윈도우즈 탐색기에서 엑셀 파일명만 봐도 알아볼 수 있도록 의미 있는 파일명으로 저장하여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저의 경우는 파일명 뒤에 년월일을 적어서 파일의 버전관리를 합니다. 예를 들어 가계부를 만든다고 하면 "가계부20240120.xlsx"라고 저장하고 며칠 후 가계부에 기능을 추가하면 그 파일은 "가계부20240203.xlsx" 라고 저장합니다.

 

리본 메뉴 표시 옵션

이 옵션은 잘 안 쓰입니다만 완성된 엑셀 파일을 기능 변경 없이 이용만 할 때, 리본 메뉴 자동 숨기기를 선택하면 엑셀 시트를 넓게 사용할 수 있어 좋습니다. 또한 제 엑셀 캡처한 그림들을 보면 리본 명령은 감추고 리본 탭 (메뉴)만 보이게 했습니다. 이런 것도 여기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메뉴 (리본메뉴탭)

엑셀 모든 기능을 MS 전문가들이 분야별로 잘 정리해 놓은 메뉴입니다. 여기서 맨 오른쪽 "개발 도구"와 "파워 피벗"은 초급자 분들은 안 쓰기 때문에 MS에서 디폴트 메뉴로 해 놓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중급 실력자 이상되면 자주 쓰는 메뉴이기 때문에 저렇게 보이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 개발 도구, 파워 피벗 메뉴 보이게 하는 방법

   파일 메뉴 > 옵션 > 리본 사용자 지정 > 우측에 개발 도구와 파워 피벗을 체크 > 확인

 

리본메뉴 (명령)

다음 강의에 메뉴별 자주 쓰이는 명령들을 설명하겠습니다.

 

이름 상자

이 부분은 중급 정도의 사용자가 잘 쓰는 부분인데요. 앞 강의에 범위를 설명드렸습니다.

https://buja-excel.tistory.com/entry/%EC%97%91%EC%85%80-%EA%B0%9C%EB%85%90-03

 

엑셀 개념 03. 셀과 범위의 주소 개념

엑셀에서 셀의 주소 체계 엑셀의 최소 입력 공간인 셀의 위치 (주소, address) 표기 방법은 열과 행으로 표기합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파란 박스와 같이 세로로 한 줄 한 줄을 열(column)이라고 부르

buja-excel.tistory.com

여기서 범위에 이름을 정의하면, 범위의 주소 대신 이름으로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식 입력줄

엑셀 초급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든 사용자가 가장 많이 쳐다보는 창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떤 셀을 선택하면 그 셀의 값이나 수식을 보여 줍니다. 여기서 값이나 수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셀에서 직접 하면 되지 않나?라고 생각 하실 수 있지만 수식이 아주 길 경우에는 셀에서 직접 하기보다 수식 입력줄에서 하는 것이 편합니다.

 

열 머리글, 행 머리글

거의 대부분 사용자가 셀의 주소도 보면서 하기 때문에 머리글은 항상 보이게 하고 엑셀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다른 사용자가 만든 엑셀 파일을 사용하다가 머리글이 없어질 경우가 발생하면 당황스럽습니다. 또는 완성된 엑셀 파일을 머리글도 필요 없고 최대한 넓게 쓰겠다 하시는 분들은 파일 > 옵션 > 고급 > 이 워크시트의 표시 옵션 > 행 및 열 머리글 표시에 체크를 하거나 풀거나 하면 보이게 또는 안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워크시트탭

디폴트로 워크시트는 하나만 생성되지만 우측 플러스 버튼을 눌러 추가할 수 있습니다. 워크시트탭은 마우스로 클릭하여 다른 작업할 워크시트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또한 더블 클릭하여 워크시트의 이름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워크시트명도 파일명과 마찬가지로 의미를 부여하면 좋습니다.

 

매크로 기록 버튼

중급 이상 매크로라는 기능을 사용할 때 쓰이는 버튼입니다. 이 기능은 나중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좌우, 상하 스크롤 바

윈도우즈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동일하게 화면을 왼쪽 오른쪽 위아래로 이동할 때 씁니다.

 

화면 확대 축소

화면을 확대하여 세밀한 디자인 작업을 하거나, 화면을 축소하여 많은 데이터를 볼 때 종종 사용합니다.

 

이번 강의는 메인 화면의 메뉴나 버튼 등 많은 것을 설명하였으나, 어떤 것도 안 쓰이는 게 없을 정도로 많이 쓰이는 기능들입니다. 하지만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저절로 익혀지는 기능들이니 외우려 하지 마시기 바라며, 다음 강의는 메뉴 하나하나를 좀 더 깊게 설명드리겠습니다.